본문 바로가기

철도기본용어사전/구조물(構造物)85

닐센 로제교 닐센 로제교 Nielsen-Lohse橋 きょう ニールセ ンローゼ橋 Nielsen-Lohse bridge *강(鋼)을 재료(材料)로 하는 하로보강아치교(下路補剛arch橋)의 하나로 *닐센로제형 (Nielsen-Lohse桁)를 사용한 다리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28.
니 브레이스 니 브레이스 ニーブレース knee brace *하로 플레이트 거더(下 路plate girder)에서 *주형(主桁)의 전도(轉倒)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형과 *횡형(橫桁)을 접속하여 연결하는 삼각형의 부재(部材)를 말 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28.
눈 덮개 눈 덮개 ゆきおお 雪覆い snow shelter *강설(降雪)·*적설(積雪)·*설붕(雪崩) 등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 *선로(線路) 위를 가리는 구조물. 목조 또는 철근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다. 지형상, *제설(除雪)이 곤란한 양측절취(兩側切取)의 개소나, 터널의 출입구나, *스위치백선 (switchback線), 혹은 복잡한 *분기기(分岐器)의 개소 등에 설치한다. *스노셸터라고도 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27.
내후성강 내후성강 耐候性鋼 たいこうせいこう 耐候性鋼 atmospheric corrosion resisting steel *강(鋼)에 동(銅)이나 니켈크롬(Nickelchrome) 등을 미량 혼합한 것. 표면(表面)에 안정된 치밀한 녹의 층이 생기기 때문에 도장(塗裝)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 다만, 해안(海岸) 근처 등, 염분(鹽分)이 많은 곳이나 대기오염 지역(大氣汚染地域)에서는 안정된 녹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. 원래는 미국의 유에스 스틸(US Steel)사가 개 발(開發)하였고, 현재는 철강 각사가 각각 개발하여 해 안 근처에서도 사 용할 수 있는 내후 성강도 개발되고 있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27.
상로교 상로교 上路橋 じょうろきょう 上路橋 deck bridge, upper route bridge ​ 다리의 통로면(通路面)의 위치에 의한 분류(分類)로, *교형(橋桁)이 나 *주구(主構) 등의 *상부구조(上部構造)의 상부(上部)에 통로면이 있는 것을 "상로교" 라고 한다. *형하공간(桁下空間)에 여유(餘裕)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.​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로 아치교 상로 아치교 上路arch橋 じょうろ きょう 上路アーチ橋 deck arch bridge *아치(arch)보다 위의 부분을 통행로(通行路)로 하고 아래에서 지탱하는 구조의 *아치교(arch橋). *충복아치교 (充腹arch橋)인 경우와 *개복 아치교(開腹arch橋)인 경우가 있다. ​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로 트러스 상로 트러스 上路truss じょうろ 上路トラス deck truss *트러스교(truss橋)의 통로면(通路面)의 위치(位置)에 의한 분류 (分類)로, *주구(主構)의 상부에 통로면을 배치한 것. *트러스형(truss桁)은 일반적으로 커지므로, 골짜기 밑이나 하천까지의 * 형하공고(桁下空高)를 확보(確保)할 수 있을 때에 사용된다. 상로 워런 트러스(上路Warren truss), 상로 프랫 트러스(上路Pratt truss) 등이 있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로 플레이트 거더 상로 플레이트 거더 上路plate girder じょうろ 上路プレートガーダ deck plate girder *강교(鋼橋) 형식(形式) 의 하나로, 기본적으로 2본의 *주형(主桁)이 *강판(鋼板)과 *형강(形鋼)의 조합으로 구성(構成)되며, 그 주형 위에 통로면(通路面)이 있는 구조(構造)의 것. 구조가 단순하며 *플레이트거더(plate girder)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부 구조 상부 구조 上部構造 じょうぶこうぞう 上部構造 superstructure​ * 교량(橋梁)을 떠받치고 있는 부분[*교대(橋臺), *교각(橋脚), 그 *기초(基礎)]과 떠받쳐지는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, 그 떠받쳐지는 부분을 "상부구조"라고 한다. 교량의 구조체(構造體)에 있어서의 본체 부분(本體部分)를 가리킨다. ​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옥 상옥 上屋 うわや 上屋, 上家 shed​ *여객(旅客), *화물(貨物) 등이 비나 눈에 젖지 않도록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설치한, 기본적으로는 *측벽(側壁)을 만들지 않는 건물(建物). *승강장 상옥(乘降場上屋), *화물 상옥(貨物上屋) 등이 있다. ​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조 상조 床組 ゆかぐみ 床組 floor system ​ *교량(橋梁)에서 * 주형(主桁)의 간격(間隔)이 넓을 때나 *하로트러스(下路truss) 등에서 *침목(枕木)이나 *상판(床版)을 간접적(間接的)으로 지지(支持)하기 위해서, 주형 또는 *주구(主構) 사이에 설치하는 *횡형(상형)과 *종형(縱桁)을 아울러 "상조"라고 한다. 상조는 *하중 (荷重)을 주형 또는 주구에 전달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상판 상판 床版 しょうばん 床版 floor deck, deck plate, slab, floor slab ​ ​ 다리의 구조물(構造 物)에서 통행차량(通行車 輛) 등의 *하중(荷重)을 직 접 받아, 그것을 *교형(橋 桁)에 전달하는 평면 모양 의 부재(평판). 상판(床板)으로 표기(表記)되는 경우도 있으며, 건축 관계에서는 마루슬래브라고 하기도 한다. 재료에 따라 콘크리트상판(RC상판, PC상판), 강상판(鋼床板), 합성상판(合成床 板) 등이 있다. ​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​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8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