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호기5 신호기 신호기 信號機 しんごうき 信号機 signal 정지(停止), 진행(進行) 등의 *신호(信號)를 *현시(現示)하는 *기계(機械). 철도 창업 당초에는 *수신호(手信號)만의 *보안(保安) 밖에 없었지만, 이윽고 색(色)을 칠한 간단한 판(板)을 사용하여 그것을 상시(常時) 설치(設置)하고 신호기로서 사용하게 되었다. 이것이 신호기의 시작으로 단순한 판에서 기구(機構)를 가진 *완목식신호기(腕 木式信號機)와 같은 *기계(機械)로 발전(發展)하고 현재의 전기기기(電氣機器)로서의 신호기나 전자기기(電子機器)라고 할 수 있는 차내신호기(車內信號機)로 진화하였다. 신호기는 상시 설치하는 *상치신호기(常置信號機)와 임시적(臨時的)으로 사용하 는 *임시신호기(臨時信號機)의 둘로 대별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.. 2024. 2. 15. 신호기의 정위 신호기의 정위 信號機의定位 しんごうき ていい 信号機の定位 normal position of signal *신호기(信號機)가 평상시(平常時) *현시(現示)하는 신호상태(信號狀態)를 "정위"라고 한다. 정위에는 *정지정위(停止定位)와 *진행정위(進行定位)가 있다. 일반적으로 *장내신호기(場內信號機), *출발신호기(出發信號機), *폐색신호기(閉塞信號機), *엄호신호기(掩護信號機) 및 *입환신호기(入換信號機)는 *정지신호(停止信號)를, 또한 *원방신호기(遠 方信號機)에는 *주의신호(注意信號)를 현시하고 *유도신호기(誘導信號機)는 신호를 현시하지 않는 것을 정위로 한다. 단 예외로서 *자동구간(自動區間)의 장내신호기, 출발신호기는 *진행신호(進行信號)를 현시하는 것이 정위라고 하여도 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.. 2024. 2. 15. 신호기의 내방 신호기의 내방 信號機의內方 しんごうき ないほう 信号機の内方 protection area of signal *열차(列車)가 *신호기(信號機)가 보이는 방향에 가까워질 때, 그 신호기의 뒤쪽을 "신호기의 내방"이라고 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5. 신호기의 방호구간 신호기의 방호구간 信號機의防護區間 しんごうき ぼうごくかん 信号機の防護区間 protection section of signal *신호기의 내방(信號機의內方)을 "신호기의 방호구간"이라고 한다. 신호기에 의해 *열차(列車)의 운전(運轉)이 지시(指示)되어 내방(內方)에 다른 열차가 없는 것을 보증(保證)하는 구간(區間)이다. 또, *진행신호(進行信號)에 의해 신호기의 내방으로 들어갔을 때, 다른 열차가 들어오는 일을 막아 열차의 *안전(安全)을 지키는 구간(區間)이기도 하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5. 신호기의 외방 신호기의 외방 信號機의外方 しんごうき がいほう 信号機の外方 in approach of signal *열차(列車)가 *신호기(信號機)의 *현시(現示)가 보이는 방향(方向)에 가까워질 때, 그 신호기의 앞을 "신호기의 외방"이라고 한다. 한글 색인 일어 색인 알파벳순 색인 ⓒY&Y 발행일 20110127 최종갱신일 20110331 2024. 2. 15. 이전 1 다음 반응형